'아동 재난 대응 실태조사' 최종 연구 결과 발표
지난달 30일, 우리 단체가 코로나19 이후 아동 권리 실태 파악을 위해 진행한 ‘아동 재난 대응 실태조사’의 최종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과 함께 ‘2021 아동 재난 대응 포럼-포스트코로나19-아동, 다시 일상으로!’라는 주제로 굿네이버스 유튜브 채널에서 생방송으로 공개했습니다.
우리 단체가 지난 4월부터 한 달간 실시한 ‘아동 재난 대응 실태조사’는 전국 6개 권역 만 4~18세 아동과 보호자 약 8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지난해 6월 실시한 동일 연구와 비교했을 때, 코로나19 이후 소득이 감소한 가정은 35% 내외로 전년 대비 비슷한 수준이었고, 소득 감소는 소득 수준이 낮은 가정에 더욱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정의 소득 감소는 아동 돌봄 공백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해와 올해 모두 소득 수준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가정의 경우, 그렇지 않은 가정에 비해 ‘나홀로 아동’과 아동의 결식 경험 증가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교육 격차도 심화되어 소득 감소를 지속적으로 경험한 가정은 그렇지 않은 가정에 비해 ‘가정 형편으로 인한 사교육 중단 경험’이 2~3배가량 더 높았습니다. ‘국가나 지역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할 아동권리’를 묻는 질문에서는 ‘모두가 평등하게 교육받기’라고 응답한 아동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우리 단체 아동권리모니터링단 소속 윤민서 아동(흑석초 6)은 “학교에서 급식을 먹을 수 없어 편의점에서 혼자 끼니를 해결하는 친구들이 늘어났고, 모두가 온라인 수업을 처음 경험하는 탓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제는 우리의 ‘적응’이 아닌 사회의 ‘변화’가 필요한 때로, 우리가 성장하는 데 꼭 필요한 ‘생존권’이 보장되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아동과 보호자의 심리정서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불안함, 지루함, 외로움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다고 답한 아동이 전년 대비 증가했고, 특히 아동 연령이 높을수록 불안이나 걱정, 무기력의 감정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호자의 경우, 코로나19로 양육 스트레스가 늘어났다고 응답한 비율이 6.7점에서 7.1점(10점 만점)으로 상승했지만, 정서적 안정을 위해 심리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아동과 보호자는 각각 7.2%, 10.4%에 그쳤습니다.
연구 책임자인 서울대학교 이봉주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현재까지 돌봄 공백과 교육 격차뿐만 아니라, 아동과 보호자를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가정의 소득, 고용 등 상황에 따른 대응 체계를 비롯해 아동 발달단계별 맞춤형 정신건강 지원 체계 및 심리정서 지원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단체는 앞으로도 코로나19 상황 속 아동권리 보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