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우리 단체는 청소년 국제교류 프로그램 ‘글로벌 유스 네트워크(Global Youth Network)’ 4기 활동을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글로벌 유스 네트워크’ 4기 클로징 세리머니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실천 활동 결과를 공유하고, 우수 소그룹에 대한 시상식이 이뤄졌습니다.
세리머니에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11개국(네팔, 라오스, 몽골, 방글라데시,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키르기즈공화국, 타지키스탄, 필리핀), 아프리카 11개국(니제르, 르완다, 말라위, 모잠비크, 에티오피아, 우간다, 잠비아, 차드, 케냐, 카메룬, 탄자니아) 총 23개국 691명의 청소년이 참여했습니다.
우리 단체 세계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글로벌 유스 네트워크’는 국내외 청소년들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지난 2021년 시작해 현재까지 총 1천 523명의 국내외 청소년들이 참여했습니다.
이번 4기 프로그램은 교육부, 외교부, 환경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원의 후원으로 지난 5월부터 약 두 달간 진행됐습니다. 국내외 청소년들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지구촌 기후위기 관련 교육을 받고, 실시간 비대면으로 각국의 기후변화 상황을 공유하며 기후위기 극복 방안 등을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클로징 세리머니에서는 ‘글로벌 유스 네트워크’ 4기 참여자 중 15명(한국 5명, 케냐 5명, 베트남 5명)이 청소년 국제교류 NGO 활동가로 위촉됐습니다. 이들은 기후위기 대응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글로벌 이슈 해결을 위한 캠페인에 참여하는 등 오는 10월까지 후속 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계획입니다.
클로징 세리머니에 참여한 천안 광풍중학교 윤태은 학생(15)은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친구들과 함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과 각국의 기후위기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며,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에도 학교 친구들과 ‘잔반 남기지 않는 날’을 만들어 지키는 등 일상 속 기후위기 대응 실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전 세계 청소년들이 기후위기를 비롯한 지구촌 문제 해결을 위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글로벌 유스 네트워크‘에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