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국내

[더 나은 미래]

2015.02.11

[공감, 인성교육의 시작입니다] (1) 굿네이버스 학교 폭력 예방 캠페인

 

학교 폭력 중 35%가 언어폭력 형태


스마트폰 통한 SNS 대화서 특히 심해

 

고맙거나 미안했던 이야기 나누는 방식


'간지럽다'며 싫어하던 아이도 차츰 변해


긍정적인 말의 중요성 깨닫게 돼

 


"미친, 너 원조교제 하는 거 모를 줄 알았냐 이 XX년아."

 

"대박ㅋㅋ, 완전 걸레."

 

또 시작이었다. 23명이 초대된 카카오톡 방, 이정주(가명·14)양에게 이번엔 지금까지 상상도 못한 공격이 들어왔다. 어이가 없어 대꾸할 말도 찾지 못한 사이, 휴대폰 메신저가 연이어 울렸다. '그럴 줄 알았다' '대박이다' 욕설 섞인 답변이 연이어 쏟아지면서, 이씨의 원조교제가 마치 기정사실인 양 굳어졌다. 사건의 발단이 된 곳은 엉뚱하게도 학교 급식실이었다. 새치기를 한 소위 '노는 친구'에게 뒤로 가라고 이야기한 게 화근이라면 화근이었다. 이양은 "처음에는 몇 번 같이 욕설을 쓰면서 대꾸도 해보고 방도 나가봤지만, 듣는 욕 강도만 더 세지고 워낙 여럿에 나 혼자라 소용이 없었다"면서 "그냥 빨리 제풀에 꺾여 그만두기만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했다.


  캡12처.JPG

 

◇언어폭력, 손끝에서 휘두르는 칼날

 

지난 7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4년 1차 학교 폭력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 폭력 중 가장 심각한 것이 언어폭력으로 드러났다. 35%에 달하는 학교 폭력이 '언어폭력' 형태였다. 교직에 재직한 지 25년째인 이은출(63) 경기 근명중학교 교장은 "복도를 지나가면 거의 모든 대화가 욕이 안 들어가고는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아이들은 욕이 폭력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장난으로 한 말이 다른 이에게는 상처가 되고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데다 신체 폭력처럼 잘 드러나지 않아 잠재된 문제가 크다"고 했다.

 

스마트폰은 '언어폭력'을 심화시키는 주범이다. 익명성이 보장되고, 말이 더 쉽게 전파되는 스마트폰 특성상 언어폭력의 정도가 더 심해졌단 얘기도 있었다. 서울 한 중학교의 김승진(가명·13)양은 "같은 반에, 은따(은근한 왕따)를 당하는 친구가 있었는데, 부모님이 두 분 다 계시는데도 아이들이 단체 카카오톡 창에서 '이혼을 했다더라' '엄마가 가출했다더라' '원래 질이 안 좋다더라' 하는 거짓말들을 올리기도 했다"며 "만약에 교실에서 말로 하면 그 자리에서 하니까 '맞다' '아니다' 말이라도 했을 텐데, 카카오톡은 여러 명이 하다 보면 워낙 빠른 속도로 말이 묻히니까 그 친구는 아예 대꾸도 안 했다"고 했다. 경기 한 중학교의 이준기(가명·13)군은 얼마 전, 반에서 자신만 빼고 카카오톡 창이 만들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군은 "중간에 이사를 와서 친구가 없는 상황인 데다, 나도 조용한 편이라 애들이랑 서로 번호도 모른다"면서도 "그래도 알고 나니 기분이 좀 그랬다"고 했다.

 

◇'공감' 도입한 학교 폭력 예방 캠페인

 

'아이들이 상대방 처지에서 생각하고, 상처 주는 대신 좋은 영향력을 주고받게 할 수는 없을까.'

아이들 사이에 이미 만연한 '욕' 문화를 바꾸기 위해, 굿네이버스는 고민을 시작했다. 지난 3월부터 시작된 학교 폭력 예방캠페인 '내 친구를 지키는 한 마디'는 수개월에 걸친 고민의 결과물이다. 문소원 굿네이버스 나눔인성교육팀 과장은 "욕을 하면 혼내고 처벌했던 것에서,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했을 때 더 긍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줘, 좋은 말 사용을 독려하는 방향으로 예방 교육을 준비했다"고 했다. 기본 영상 자료는 준비하되, 교육 방식은 열어뒀다. 각 학교나 학급 차원에서 현장 분위기와 잘 맞는 방법으로 교육이 이뤄지도록 한 것이다.

 

<후략>

 

 

☞ 기사원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