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국내

아동청소년 연구원 연구보고서 '청소년의 꿈'

2018.04.26
아동권리 이슈포커스 11호, 아동청소년연구원, 청소년의 꿈 Youth-led Research : Dreams of Youth, 발행인 양진옥, 발행처 굿네이버스, 발행월 2018년 4월, 굿네이버스 아동권리 이슈포커스는 주목할 만한 아동의 현안에 대해 아동권리 관점의 이해를 제공하고 아동권리 보장을 위해 필요한 인식을 공유하는 한편, 정책 및 제도, 인식,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개선을 촉구하고자 발간되었습니다.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에서는 아동의 참여권 보장을 위해서, 지난 2017년 아동이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권리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아동·청소년 연구원 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본 이슈포커스는 2017 굿네이버스 아동청소년 연구원이 수행한 ‘청소년의 꿈’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권리의 주체자인 아동의 시각에서 ‘꿈을 생각할 권리’ 보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소년=꿈을 정하는 시기, 하지만 학업으로 인해 꿈 꿀 시간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꿈이 있나요?’ 물음에 64%의 아이들은 꿈이 있다고 하였고, 36%의 아이들은 꿈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꿈이 있나요? 응답 그래프, 꿈이 있는 아동 64%, 꿈이 없는 아동 36%


자신의 진로 결정에 있어 흥미(33.4%)와 적성(27.3%)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돈(17.8%)과 안정성(9.2%)을 중요한 기준으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꿈 선택의 중요한 기준 그래프, 흥미 33.4%, 적성 27.3%, 돈 17.8%, 인적성 9.2%, 좋은 근무환경 3.6%, 명예 3.1%, 사회기여 1.1%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의 노력이 가장 필요하다(56.1%)'는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학업성적이 필요하다(23.9%)'는 인식도 높았습니다.

꿈을 이루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 그래프, 나의 노력 56.1%, 학업성적 23.9%, 진로에 대한 정보 7.7%, 흥미 4.8%, 나의 성장 4.6%, 적성 2.0%, 주변사람들의 격려 0.9%


그렇다면, 청소년이 생각하기에 우리사회는 꿈을 이루기 좋은 사회일까요? ‘그저 그렇다’라는 의견이 43.9%, ‘나쁘다’라는 의견이 33.7%, ‘좋다’라는 의견은 22.4%였습니다.

꿈을 이루기 위한 환경 1. 좋아요 22.4% - 기술이 많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사교육 환경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꿈을 이룰 수 있는 시설이 많다, 꿈을 체험할 곳이 많고 적극적인 지원을 해주기 때문이다, 2. 그저 그래요 43.9%, 나쁘지도 않고 좋지도 않다, 아주 좋지는 않지만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다, 꿈에 대한 확신은 없고 무슨 환경이 적절한지 잘 모르겠다, 3.나빠요 33.7%, 1등만 중요시 여기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경쟁률이 높고 취업난이 심하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꿈을 이루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학생때 진로에 대해 공부하긴 하지만 사회에 나가서는 막상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다.


청소년은 꿈을 이루기 위해 국가와 학교, 그리고 부모님에게 다음과 같은 도움을 원하고 있었습니다.

청소년들이 꿈을 이루기 위해 국가와 학교, 부모님에게 원하는 도움들 : 국가 - 교육비 지원 등 경제적 지원을 늘려주시고 교육 환경을 개선해 주세요, 학교-진로활동 수업을 늘려주시고, 공부 이외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부모님-저희의 꿈을 믿고 지지해주세요


이에, 아동청소년 연구원은 꿈꾸는 청소년을 위해 1)학업위주의 교육이 아닌, 개개인의 역량을 탐색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으로 변화  2)청소년의 흥미와 적성을 찾기 위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이 늘어나야 함을 제안합니다.

아동권리 이슈포커스 11호 PDF 자세히보기 >>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
함께 많이 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