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굿네이버스는 2016년에 이어 2018년 대한민국 아동권리지수 연구를 두 번째로 실시하였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아동의 전반적인 권리 실태와 변화 추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습니다.
주요 결과는 첫째, 2018년 우리나라 아동권리 수준은 70점대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아동의 권리 영역별 보장 수준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둘째, 2016년에 비해 2018년 지역별 아동권리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셋째, 부정적 권리 경험이 있는 아동일수록 부정적 발달 결과 수준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본 연구의 함의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존권・발달권・보호권・참여권, 모든 권리의 영역은 균형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 모든 아동은 어떤 지역에 거주하든지 차별 없는 아동권리 보장 수준을 누려야 한다.
·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자세한 결과는 다음의 아동권리 이슈를 통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주요 결과는 첫째, 2018년 우리나라 아동권리 수준은 70점대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아동의 권리 영역별 보장 수준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둘째, 2016년에 비해 2018년 지역별 아동권리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셋째, 부정적 권리 경험이 있는 아동일수록 부정적 발달 결과 수준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본 연구의 함의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존권・발달권・보호권・참여권, 모든 권리의 영역은 균형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 모든 아동은 어떤 지역에 거주하든지 차별 없는 아동권리 보장 수준을 누려야 한다.
·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자세한 결과는 다음의 아동권리 이슈를 통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