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국내

[더 나은 미래]

2014.08.19

 

 

굿네이버스 희망나눔학교

 

 


13년간 6만8811명 아동 참여 사발면에 감정 표현, 음악으로 친구 묘사


음악·그림 등 활용한 방학 프로그램 부정적이던 아이들 자아존중감 향상

 

 

"저 혼자만 떨어져 있어요."

 

손미혜(가명·11)양은 다섯 형제의 맏딸이다. 손양 아래로 연년생 동생과 다섯 살, 갓난아이까지 줄줄이 4명의 동생을 두고 있다. 맞벌이를 하면서 아이들을 모두 키우기 힘들었던 부모는 손양을 일찌감치 인근에 사는 할머니·할아버지 댁에 맡겼다. 그런 손양이 지난해 겨울방학 굿네이버스의 방학 교실 프로그램인 '희망나눔학교'에서 처음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지난해부터 도입한 표현예술 심리치료 덕분에 발견한 '상처'였다.

 

프로그램 내내 집중력이 낮고 눈에 띄게 무기력한 모습을 본 치료사는 손양을 굿네이버스 좋은마음센터로 연결했다. 손양은 외로움으로 인한 무기력증과 우울감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손양은 학교에서의 친구 관계도 나쁜 것으로 드러났다. 상담 치료를 통해 가정환경의 변화가 필요함을 알게 된 좋은마음센터는 가족 상담을 진행했다. 손양의 정서적인 불안감과 상처를 모르고 있던 부모는 상담 직후 딸을 집으로 데려오고, 가족 상담을 지속했다.

 

이후 손양의 얼굴이 눈에 띄게 밝아지기 시작했다. 6개월 동안 단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스스로 올 만큼 상담을 잘 마친 손양은 "이제 이야기할 수 있게 됐어요"라며 당당히 자기표현을 한다. 덩달아 학교 친구들과의 관계도 원만해졌다.

 

 

  2014081802605_0.jpg

 

 ◇표현예술 심리치료를 도입한 방학 프로그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에 따르면, 경제 수준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생활 및 정서 문제는 심각하다. 160여 개의 조사 항목 가운데 약 80% 이상, 가정의 경제 수준이 낮아질수록 청소년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가 나빠졌기 때문. 특히 스트레스 인지, 우울감 및 자살 생각 등 정신적·심리적 영역에서 저소득층 청소년일수록 문제가 컸다. 고기남 굿네이버스 성동지부 간사는 "맞벌이, 한부모, 조손가정 등 방학 동안 돌봄과 심리 상담이 필요한 아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에 굿네이버스는 지난해 겨울부터 희망나눔학교 프로그램에 표현예술 심리치료를 도입했다(희망나눔학교는 굿네이버스가 2002년부터 진행해온 초등학교 방학교실 프로그램으로, 급식 지원은 물론 전문가와 함께 만든 매뉴얼을 통해 건강·학습·정서 교육을 진행한다). 표현예술 심리치료 프로그램 제작에만 두 달이 걸렸다. 서울대 표현예술치료학과 교수진, 굿네이버스 좋은마음센터 예술치료사들이 매뉴얼을 제작하고, 전국의 희망나눔학교 교사 및 자원봉사자들을 모아 워크숍을 실시했다.


<후략>

 


☞ 기사원문 바로가기

 

 

함께 많이 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