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 16일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창설을 기념하여
1979년에 UN이 지정한
'세계 식량의 날(World Food Day)'입니다.
하지만, 4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분쟁 기후 변화, 경제위기 등으로
전 세계 수억 명이 식량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식량위기: 기후위기 또는 재난, 분쟁으로 인한 충분한 영양과
필요로 하는 양의 음식에 접근할 수 없는 상태
특히, 난민과 같이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식량위기는 더 큰 위기로 느껴집니다.
심각한 식량위기 상황에 놓인
전 세계 인구 수
약 2억 9,530만 명
출처: 2025 세계 식량위기 보고서(GRFC)
"내일은 무엇을
먹을 수 있을까😧?"
아프리카 남동부의 위치한 작은 나라
말라위 잘레카 지역에
난민캠프가 만들어진 건 1994년.
이곳에는 콩고민주공화국, 부룬디, 르완다 등
내전과 학살을 피해 이주한 5만 명이 넘는
난민들이 모여 살고 있습니다.
(좌) 잘레카 난민캠프 전경 / (우) 잘레카 난민캠프 표지판
🌡️ 가뭄으로 인한 식량 부족
👥 인구 과밀과 자원 부족
📉 국제사회의 원조 축소
난민들과 난민캠프 인근 주민들은
만성적인 식량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내일은 무엇을 먹을 수 있을까?
잘레카 난민 지역 캠프의 주민들은
매일 같은 질문 앞에 서 있습니다.
굿네이버스는 잘레카 캠프에 살고 있는
난민들과 인근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2025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식량위기 대응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농업을 위한
인프라를 개선해요!
굿네이버스는 단순히 식량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난민과 지역주민이
스스로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수입을 창출하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그 핵심은 바로 말라위의 주 생계 수단인
"농업"에 있습니다🌾
🟫 경작지 확보
난민들은 법적으로 토지를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지역주민의 경작지를
임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관개시설 정비
낙후된 태양광 관개시설을 보수해
건기에도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농업 필수 자재 지원
비료, 씨앗, 농기구 등 필수 자재를 제공해
수확량을 높이고 안정적인 농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 곡물창고 건축
난민과 지역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곡물창고를 건축해, 수확한 곡식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가격이 좋을 때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단순한 생존을 넘어
자립과 협력의 기반을 만드는 일입니다.
농업 관련
교육을 진행해요!
안정적인 농업활동을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 리드 파머 교육
굿네이버스는 리드 파머(농업 리더)를 양성해,
이들이 교육을 받고
다시 다른 난민과 지역주민에게
기술을 전수하도록 돕습니다.
리드 파머는 단순히 농사를 잘 짓는 사람이 아니라,
공동체의 멘토로서 새로운 농업 기술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을 중심으로 난민들과 지역주민들은
새로운 농업 기술을 배우고,
함께 성장할 수 있습니다.
💵농업 클럽 운영
난민과 지역주민이 함께 구성한
농업 클럽은 작은 공동체입니다.
이들은 교육을 받고, 함께 농사를 짓고,
재배한 농산물을 모아 집단 판매를 통해
더 높은 가격과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합니다.
혼자서는 적은 양이라 제값을 받기
어려웠던 농산물도
농업 클럽을 통해 규모의 힘을 얻게 됩니다.
농기구를 지원받은 농업 클럽 멤버들
그 과정에서 난민과 지역주민은
협력과 신뢰를 통해
더 큰 소득을 가져갈 수 있어요.
🤝난민-지역주민 운영위원회
농업 클럽 활동은
난민과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운영위원회를 통해 운영됩니다.
농업을 통한 수익 분배, 자원 이용,
공동 곡물 창고 운영 등
중요한 사안은 모두가 함께 논의하고 결정합니다.
이 구조는 농업 분야의 협력을 넘어
공동체로서의 이해와 신뢰를 쌓는
계기가 되고 있어요.
내전을 피해 잘레카 난민캠프로 이주했지만,
늘 굶주림과 싸워야 했습니다.
고국에서도 농사를 짓던 저에게 난민의 신분으로
다시 농사를 짓는 일은 쉽지 않았지만,
농업 클럽 활동이 제게 다시 희망을 주었습니다.
- 치푼도 반다(가명) /
잘레카 난민캠프 난민, 리드 파머 참여자 -
농업 클럽 활동을 통해 농업에 꼭 필요한
자재들을 지원받아 농사에 큰 힘이 되었습니다.
또한, 난민들과 함께 농사를 지으면서
서로 몰랐던 농법도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 차간틸라 오딜리야 /
잘레카 지역주민, 농업 클럽 멤버 -
농업 자재를 지원받은 지역 주민
굶주림을 넘어, 희망을 경작하는 길
잘레카 난민캠프 식량위기 대응 사업은
일회성 식량 지원에 그치지 않습니다.
난민과 지역주민이 함께 자립의 길을 찾고,
기후위기와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도
스스로 살아갈 힘을 기르는
소중한 여정입니다.
굶주림을 넘어, 희망을 경작하는
이 소중한 길에
여러분도 함께해 주세요💚